본문 바로가기
  • 여행과 일상 그리고 인생에서 발견하는 Serendipity_
Serendipity in life journey_/명리(命理) 공부_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편 | 명리학의 효용성

by 세렌디퍼_ 2020. 9. 9.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편 정리 요약본

1997년도에 사주명리학의 대가이신 박청화 님이 최초로 한의사님들을 상대로 하셨던 춘풍추상(춘하추동 신사주학) 강의 영상의 내용을 정리한 요약본. 1편에 이은 2편은 오행의 개념 이해와, 인간이 왜 명리학을 연구해왔는지에 대한 내용, 사주 명리학의 효용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역법과 절기, 오행의 작용을 연계해서 이해해야 한다.

그러니까 같은 오(午)월이라도 궁통보감에는 이런 바로 역법의 원리와 이런 여기(餘氣)의 원리를 꼭 반드시 연계해서 사주를 봐야 된다고 나와 있다. 삼복(三伏) 생한(生寒)에서 소서(小暑)가 지나 첫 번째냐 두 번째냐 하는 것과, 경(庚)으로 가을이 열린다고 보니까 경을 보고, 입추(入秋) 지나서의 경(庚)은 마지막 삼복으로 보고. 책의 원문에서는 하지(夏至)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라고 나와 있다. 하지가 지나서 났다면, 삼복에 생한하므로 지극히 화로(火) 갈 것이다. 그 이전에 태어났다면, 하지 전에 태어났다면 반드시 물(水)을 중요히 쓴다는 것이다. 그러니 그냥 오(午)월의 갑을목(甲乙木)을 사주에 어떤 문자 그대로 모양이나 기질을 분석해나가면 안 된다는 것이다. 이런 역법(曆法)적인 상황을 항상 생각해주어야 된다. 그래서 이 두 부분을 머리에 항상 염두 해두고 공부를 해나가야 한다.


오행의 개념 이해

그 다음은 오행 자체를 문자처럼 이해해서는 안 되고 하나의 자연으로서 그것을 이해해줘야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목(木)을 이해하기 쉽게 어떤 자연의 모양으로 바꾼다면, 춘풍(春風)정도 된다. 봄바람이 부는 것. 봄바람은 가을바람과 풍속이나 풍향, 온도가 다른가? 춘분(春分) 추분(秋分) 전후의 그 바람이나 기온을 보면 거의 똑같다. 풍속은 같은데 방향만 좀 다르다. 중위도 지방에는 동남풍이냐 서남풍이냐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춘분, 추분은 비슷한 정도의 볕에, 밤낮의 길이도 비슷한데도 봄바람에는 나무들이 꽃을 피우고, 가을바람에는 잎이 마르고 쓰러지고 떨어진다.


팔자 안에 용신이 없는 사주도 있다. 그래서 박청화님은 용신이란 말도 잘 못 쓰게 하신다고 한다. 악처와 악자에게 시달리며 평생 교단에 있었던 사주에 관심이 많은 70대 노교수가 있었는데 이 팔자에 용신이 뭔지는 모르겠고, 그 분의 삶에 대해 설명을 해드렸는데, 대부분 다 맞았고 해답을 얻어가셨다고 한다. 이 분은 모진 풍상(風霜)을 겪으신 분이다. 춘풍추상, 봄바람도 맞아보고 가을서리도 맞아보고, 인생의 역전을 할 수 있는 춘하추동의 철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분이 이때까지 용신, 격국(格局)을 수년 공부 해왔다는데 그것은 다 헛공부였다고 하셨다고 한다. 어느 것이 팔자 안에 풍(風)이 되고, 어느 것이 팔자 안에 상(霜)이 되는가만 알면, 인생의 모양을 알 수가 있다.


그러면 춘풍의 기운은 무엇인가? 춘풍의 기운은 오행으로 목(木)이고, 그 다음 추상의 기운은 금(金)이다. 가을 서리의 기운, 수렴하고 결실을 이루는 기운. 어떤 책에는 축사라고 되어 있는데, 금과 목이 결국 수와 화에 오르내린다. 수가 올라타고 화가 아래에 있으면 반드시 목이 생한다는 것이다. 화가 위에 있고, 수가 아래에 있으면 기제, 미제 하는 것.(영상 음성 잘 안 들림) 반드시 풍상왕래가 수, 화에 있다는 것이다. 그 다음에 풍상이 어느 곳에서 닫히고 열리냐가 이 사계절의 변화라는 것이다.


수가 위에서 활동하고, 화가 밑에서 활동하면 반드시 풍이다. 그래서 풍이 상되었다, 상이 풍되었다 하는 것, 꽃나무가 열매가 되었다가 열매가 꽃이 되었다가 계속 돌고 도는 것, 풍상이 돌고 도는 것을 누가 어느 조건에 따라서 바꾸느냐, 수화의 따뜻하고 춥다가 오르내리는 이런 것과, 사계의 왕래가 보이기 시작하면 오행공부는 끝난 것. 춘풍의 기운 목을 누그러뜨려서 생명의 기운인 화가 되기도 하고, 겨울의 딱딱한 열매의 기운인 금을 누그러뜨려서 봄 목의 다리가 되어주기도 한다. 이렇게 해서 오행의 상생이 이뤄진다. 토는 이것과 상관없이 작용하며, 계절의 끝마다 붙어있다. 흙이 계절의 끝자락, 삼합에서도 막내의 작용을 하는데 꼴통들이 굉장히 많다. 토만 알면 오행은 다 나간 것이고, 목화금수의 왕래만 알면, 오행은 다 안 것이다. 적어도 오행이 돌아가는 논리를, 오행의 논리를 다 알게 된 것이다.


이렇게 화가 금이 되고, 금이 수가 되고, 수가 목이 되고 이런 것이다. 이론적으로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들을 공부하다보면, 도저히 금생수는 그럴 듯하게 말이 안 된다. 금, 금속, 바위가 어떻게 물을 생성시키는가? 사실 금은 금속이 아니라 응축하게 하는 힘, 그늘이라는 것이다. 목화가 빛이라면 금수는 그늘이며, 수분과 습기는 그늘진 곳에 모여드는데 그것이 금생수다. 절대적이고 제한적인 공간의 수분과 습기. 금은 그림자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다. 이렇게 생각하니 오행의 이치가 하나도 막힘없이 흘러가게 되었다. 현대인들의 가장 큰 맹점이 물질론 적으로 어떤 사물의 속성을 파악한다든지 하는 것인데, 금이라는 것의 의미 자체는 역동적인 것이다. 금은 수축하고 응축하려는 성향이다. 그러한 성향인 것이지, 금속이라는 실체하는 물질이 아니다. 그 성질에 가장 가까운 것을 사물화 한 것이 금이라는 말이다.


사주팔자를 깊이 공부를 하다 보면, 정말 그것으로 여러 가지 말을 풀어낼 수 있을 정도까지 갔을 때, 어떤 한계를 많이 느끼게 된다. 참 서글픈 학문이다. 대충 운명의 실체 자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부를 많이 해야 된다. 깊이, 피나게 노력해야 되는데, 결국 어느 정도 답을 알게 되었을 때 참으로 구원이 없고, 대책이 없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그래도 의학은, 가장 소극적인 구원이다.


인간이 명리학을 공부하는 이유와 효용성

이 세상에서 운이 없어도 할 수 있는 일이 세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공부다. 공부는 운이 좀 없어도 할 수 있는 일이다. 또 재물을 벌어들이기 위한 수단인 재능을 익히는 것과, 그 다음 자아발견을 하는 것인 종교적 수행이 있다. 그리고 이 경계의 중간쯤 있는 게 건강의 문제. 위 세 가지 부분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들이다.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부분. 그래서 의학은 운이 지극히 나쁘지 않은 이상에는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주팔자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위의 욕구들이 아닌 다른 욕구들을 위해 사주팔자를 공부하는데, 제일 심한 것이 바로 재물에 대한 욕구 때문이고, 그 다음 명예, 그 다음이 종족의 보존이다. 그래서 개인적인 노력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일이 있고, 운에 의해 부족한 것을 보충해야 극복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주팔자에서 다루는 것은 위에서 설명했던 운이 없어도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한 것은 주로 다루지 않고, 결국은 재물과 명예에 대해서 다루게 된다. 결국 이 사람의 재물과 명예의 등급이 어느 정도일 것이다 하는 것. 그 다음이 배우자와의 인연. 그 다음이 훗날 자기의 가업을 공유할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이 바로 종족 보존, 자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개인의 의지대로, 입맛대로는 안 되는 것이다. 그 사람의 팔자의 한계 때문에 어느 정도 선이 보이고, 그 선을 더 뛰어넘는 예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공부는 운과 상관없는 가장 소극적 단계의 일로, 그 외의 일들을 할 수 없을 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평생 공부만 하는 사람은, 공부 밖에 할 게 없는,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다. 세속의 영리에는 인연이 없는 사람들이 결국 이 과로 들어간다. 그러나 아무리 글공부를 많이 했다하더라도, 그것이 세속적 이익과 부합되지 못하고 지내면 한량이 될 수 있다. 재물과 명예는 본래 자신에 의해서 출발되는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위의 요소들은 자기가 가지고 태어난 씨앗과 관계되는 것이고, 재물과 명예, 배우자와 자식 등의 요소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 부분이 크다. 예를 들어 인간은 어떤 꽃나무에 비유한다면, 그 꽃나무의 씨앗에는 위의 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들, 이런 기질적인 요소들만 들어 있다.


이 씨앗 속의 기질적인 요소가 결국 어떤 환경을 만나느냐에 따라서 어떤 모양으로 존재해 나갈 것인지를 분석해 나가는 것인데, 결국 이 전체가 어느 정도 팔자 내에서 각본처럼 짜여있는 것이 보이기 시작하면 그 사주팔자의 운명은, 그 한계가 어디까지라는 게 대충 짐작이 가능한 것이다. 결국 사주를 많이 공부한 사람들에게 이 학문은 안심입명(安心立命)의 학문이다. 안 되는 것(자신의 한계)을 아는 것. 안 되는 것을 알면서도 머리 복잡하게 일을 벌이고, 허욕을 부림으로써 자기 삶을 더 소모적으로 만드는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 자기 팔자에 주어진 것으로 충실하게 살아가려고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운명이다. 결국 운명의 명이라는 것이, 결국 명령이라는 것이다. 명령, 천부의 명령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사주팔자의 용어 중에 이 안심입명이라고 하는 것이, 결국 최종적으로 어떻게 보면 유교적인 구원이다. 개인에 있어서 유교적인 구원.(자연을 알고 순응, 허욕x=고통도x 효율⇑)


주자의 제자 중 한명은 천지만물은 기(氣)가 아니고서는 그 모습을 드러낼 수 없다고 말했다. 그 다음 천지만물은 또 허공이 아니면 그 모습을 감출 수 없다. 이렇게 천지만물이 들고 난다고 하는 것은, 모였다가 흩어졌다가, 모양을 드러냈다가, 사라져가는 것은 결국 부득이한 것이다. 결국 이 부득이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사주다. 그렇기 때문에 불교론은 죽어서 해탈을 구하지만, 보덕의 논리처럼 사주 명리학은 죽지 않고 영원히 사는 양생을 구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사주 명리학에 있어서 삶은 천지만물의 그 부득이함 안에서 우리가 우주의 일원으로서 사회의 일원으로서 자기에게 주어진 사명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에 있어서 죽음은 잠시 쉬는 것에 불과하더라. 이렇게 유교적인 측면에서 개인적인 구원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궁극적으로 사람들에게 결국 자기 팔자가 어떤 재주와 재능을 갖고, 수명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세속적인 재물과 명예를 어느 정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다. 그것을 알고 허욕을 부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벼슬에 나가서도 착각과 허욕 때문에 자만하여 타인을 괴롭히는 것이 문제다.


현대사회에서 사주학은 그럼 어떻게 가치가 있는 것인지? 어차피 결과는 타고난 기질과 운에 의해 대략적으로 정해져있고, 그 결과를 내담자에게 알려준다고 해서 그것으로 인한 구원은 별로 없다. 그러나 운의 흐름을, 운의 좋고 나쁘고를 물었을 때는, 운의 계절적인 흐름에 의한 좋고 나쁨, 이것을 미리 앎으로써 결국 삶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업을 한다면, 운에서 찬바람이 조금씩 불고 있는데 이제 곧 봄이오니 지금부터 바로 시작하라고, 그렇다면 여름이 되면 결국 좋은 결실을 얻게 된다고 해서 사업을 시작했더니, 한참 지금 사업이 잘되고 있다고 하자. 그래서 또 씨를 뿌리려고 하는데, 봄에 씨를 심어서 삼일이 걸려서 싹이 텄다하면, 여름에는 씨를 뿌리면 그 다음 날 바로 싹이 트겠다. 그 때는 손만 대면 사업이 잘 돼서 들어오겠다. 그래서 사업을 더 벌이게 되는데, 만약 이 사주라는 학문을 한 사람이라면 이제는 서서히 거두어야 되겠구나, 추수를 준비해야 되겠다는 것을 안다는 것이다. 결국 가을바람이 불어오면 이때 씨를 뿌린 것은 전부 쭉정이가 되어서 다 말라버리는 것이다. 그러면 개인만 골탕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의 여러 사람까지 같이 당하는 것이다.


광고에서 보면 우리나라 연간 사교육비가 17조 5000억이라고 하는데, 어차피 그 쪽 공부를 해도 안 되는 팔자가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엄청나게 소모를 한 것이다. 부모의 정서 때문에 자식을 잡고, 결국은 돈을 쓰게 된다. 어차피 학마(學魔)의 운이라면, 군대를 미리 갔다 오든지, 해외를 나가든지 다른 방편을 구해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면 되는 것이다.


만약 사주와 지리와의 관계를 안다면, 어떤 사주는 반드시 해외에 가야 공부가 통달이 되는 사주가 있다. 예를 들어 인수(印綬)가 역마라면, 그럼 책을 들고 다니면서 봐야 된다. 이집 저집 다니면서. 아니면 사주가 너무 조열해서 내륙 또는 국내에서 학문을 이룩하는 것이 아니고, 해외에서 학문을 해야 한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다. 해외라는 것은 실제 바다를 건너는 게 아니라, 보이지 않는다는 그런 상징적인 의미로도 실제 많이 작용한다.


촛불 이미지주위 환경과 나의 한계를 알고 이에 적응하는 법을 터득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학문


원본 강의 영상 출처 : 유튜브 박청화 홍익tv - 박청화 춘풍추상97(춘하추동신사주학)


2020/09/09 - [Serendipity in life journey_/명리(命理) 공부_] -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1편 | 사주는 계절학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