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과 일상 그리고 인생에서 발견하는 Serendipity_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45편 | 격국의 종류, 종격, 화격, 특수격 등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45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의 필사본으로, 45편은 전편에 이어서 다자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왕격 목일주에 목(木)이 왕성한 것을 전왕격(專旺格)이라고 하고, 또 목이 왕성한 자를 도와주는 것을 곡직인수(曲直仁壽)라 한다. 화(火)가 왕성한 것은 염상격(炎上格), 토(土)가 왕성한 것은 가색격(稼穡格), 또 금왕(金旺)은 종혁(從革), 수왕(水旺)은 윤하(潤下)라 한다. 종격(從格)은 부득이하게 용신을 취용했기 때문에, 그 강한 글자와 상생되면 무조건 순조롭다. 호가호위(狐假虎威: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남의 세력을 빌어 위세를 부림)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관살(官殺)이 강한 사람은 ..
2021. 5. 23.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43편 | 변화론과 고정론, 중화, 억부, 병약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43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43편은 변화론(용신, 운), 고정론(격국)과, 중화, 억부, 병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42편과 이어지는 내용으로 시작합니다. O甲丙辛 寅辰午未 대운(大運)이 처음부터 이 진토(辰) 편재(偏財)를 도와주고 있다면, 이 진토부터 먼저 써먹게 된다. 대운이 사, 오, 미(巳, 午, 未)라는 식상운(食傷運)으로 흐른다면, 이는 관성(官星)이라는 제도권에 반대되는 성분이다. 천간(天干)의 신금(辛金) 때문에 제도권에 자꾸 들어가려고는 하는데,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잘 이루어지지 않으니 부득이 진토 편재를 쫓아서 제도권에 있는 학교, 교단 길에 남는 것을 ..
2021. 4. 4.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42편 | 용신격국론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42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42편은 용신격국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己戊辛己 未申未亥 무토(戊) 여명. 목, 화가 없고, 인, 묘(寅, 卯)가 공망(空亡)이다. 해(亥)중에 갑목(甲)과 미(未)중에 을목(乙)이 있다. 합(合)에 의해 부득이하게 목국(木局, 亥未合)을 만들어 내게 되는데, 이 목(관성) 남편은 사회적으로 현달하거나, 이 분에게 남편으로서 뚜렷한 역할을 못해준다.(천간에 드러나지 못하고 지장간에 묻혀있으니) 또 갑기합(甲己合)으로 기토(己)와 인연하니, 남의 남편, 유부남이라 볼 수 있다. 그러니 부득이하게 일지(日支, 배우자궁)의 원숭이띠(申) 남자를 남편으로 삼게..
2021. 3. 21.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9편 | 오행과 십성의 다자법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9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39편은 전편에 이어서 다자법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합니다. 다자법 | 화다금약, 화다토약, 화다수약 화다(火多)해서 금이 쇠약해지면, 화가 토를 낳아주는 오행이긴 하지만 결국 토 자체도 금과 함께 무력화된다. 그래서 화다하면 무조건 금약(金弱), 수약(水弱), 토약(土弱)이 다 일어난다. 화가 치열해지면 예의에 밝고, 사치, 허영, 명예욕 등이 강해지나, 심리적으로는 내실을 갖추지 못했으므로 금을 약화시키게 된다. 토다수약, 토다금약 토다(土多)하면, 수, 물의 흐름을 방해하며, 금도 제대로 활동을 하지 못하는 해(害)가 발생한다. 토다하면 대체로 재부..
2021. 2. 10.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8편 | 신강과 신왕, 관살혼잡 무식상, 결혼이 어려운 사주, 사주로 보는 용모, 체형, 체질, 가족, 다자법(목다토약, 화다금약)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8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이 한의사분들을 대상으로 한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38편은 신강과 신왕의 차이, 결혼이 어려운 사주 간명(관살혼잡 무식상, 편재공망 여명), 사주로 보는 용모, 체형, 체질, 가족 그리고 다자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37편과 이어지는 내용으로 시작합니다. 甲壬丙庚辰午戌戌 어쨌든 팔자가 신약(身弱)하면 록(祿)을 제일 반긴다. 그리고 이 사주는 인, 묘, 진(寅, 卯, 辰) 대운(大運)에서 상당히 대발한다. 가을의 황량한 터에 봄이 왔으니까. 양간(陽干)의 기본적인 성질은 종기부종세(從氣不從勢)로, 기(氣)를 따르고 세력을 쫓지 않는 것이다. (자신이) 이길만하면, 웬만하면 자기가..
2021. 1. 24.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7편 | 공망, 별자(허자), 비신법, 공협, 공록, 도충, 비천록마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7편 정리 요약본 박청화님이 한의사분들을 상대로 한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37편은 전편에 이어서 공망과, 별자(허자), 비신법, 공협, 공록, 도충, 비천록마에 대한 내용입니다. 재(財), 관(官), 식(食) 이 세자는 공망이 들어오면 적어도 거의 이런 육친(六親)들의 상실이나, 재물에 대한 고통을 당하게 된다. 癸戊OO丑午OO 남명이 무오(戊午)일주에 계축(癸丑)시라고 했을 때, 축이 공망(空亡)으로, 이것이 충(沖)이나 합(合)에 의하여 해구된다 하더라도 이것은 새는 밥그릇이다. 공망이라는 것은 (해구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어느 정도 새고 있다는 뜻이다. 축이 공망인데, 계수라는 여자가 새는 바가지 위에 있으니 합을 ..
2021.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