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과 일상 그리고 인생에서 발견하는 Serendipity_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4편 | 무자법, 무재성, 무관성, 무인성, 혼잡법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4편 정리 요약본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춘하추동 신사주학) 강의의 정리본입니다. 34편은 33편에 이어 무자법과, 팔자에 없는 십성(육신, 육친)과, 혼잡법에 대한 내용입니다.편재가 없는 경우 편재(偏財)는 투기재산이나, 투기성이다. 투기재산, 사업재산. 없다면, 사업으로 재산을 버는 성향이 약하다. 대체로 년, 월에 편재가 없다면 부친의 혜택이 적거나, 부친과 인연이 고르지 못하다. 그리고 만약 팔자 안에 편재가 없는 사람이 편재의 운을 만났을 때, 큰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투기, 사행심 등으로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뒤의 해구법에 가서 할 것이지만, 그것을 잡아주는 글자가 있다면, 자신은 월급쟁이더라도 아내가 집장사를 해서 돈을 몇 배로 불리는 ..
2020. 12. 18.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3편 | 무자법과 육신(십성)관계, 무비겁, 무식상, 무재성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3편 정리 요약본 부산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이 한의사분들을 대상으로 하셨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의 정리본입니다. 33편은 32편에 이어서 무자법과, 팔자에 없는 육신(십성)에 대한 내용입니다.단순히 오행중 수만 없는데도 굉장한 피해를 보는 계절(태어난 계절, 월지)이 여름, 특히 늦여름에서 초가을로 넘어갈 때이다. 월지(月支)에 신(申)이 놓여있는데도 수가 나오지 않았을 때, 밤낮으로 내리는 이슬이 없으면 오곡백과가 열매를 맺지 못한다. 그러니 백사불성(百事不成)하는 경우가 된다. 물론 신(申)중 임수(壬)가 있긴 하지만, 초가을 즉 입추(入秋) 지나서 얼마 안됐을 때까지는 뜨거운 기운이 더 치열하고, 오히려 비도 적게 온다. 물론 ..
2020. 12. 13.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1편 | 십성, 육친관계 복습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1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의 정리본입니다. 31편은 십성과 육친관계(가족관계)를 복습하는 내용입니다. 십성(十星) | 연예인에 비유한다면? 만약 자신이 가수라고 치면, 비겁(比肩, 劫財)은 경쟁자, 동료 가수 등이 되고, 식신(食神)은 자기가 제일 즐겨 부르는 종목의 어떤 노래, 상관(傷官)은 자기가 개발했던 창작했던 곡 중 기교가 많이 들어간 노래 등이 된다. 대부분의 가수들은 상관의 곡을 할 때 더 즐기고, 이 상관으로써 히트를 치게 된다. 편재(偏財)는 실제 돈(현찰)이나, 무대로 생각하면 된다. 壬辛丁O OO OO 임수 상관이 정화 편관(偏官)과 합(合)으로 어울리는데, 이 때 관은 카메라요, ..
2020. 11. 20.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0편 | 육신(십성)과 신체부위, 질병과의 관계, 나이에 따른 변용법, 흉신작용의 비보법과 개운법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30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이 한의사분들을 상대로 한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것으로, 30편은 육신의 신체부위로써의 변용법과 그로인해 올 수 있는 질병, 나이에 따른 육신의 변용법, 그리고 흉신작용의 비보법과 개운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신체부위로써의 육신(六神=육친(六親)=십성(十星))의 변용법 재(財)와 관(官)은 몸과 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식상(食身,傷官)은 팔, 다리라고 하는 활동 수단이다. 행동을 제어해주는, 갈지 말지를 제어해주는 역할은 인수(印綬=印星)며, 두부에 해당된다. 몸체는 비견(比肩)이다. 팔자 안에 식신이 충(沖)을 당하거나, 공망(空亡)을 당했을 때 살아생전에 반드시 그 사람은 팔, 다리에..
2020. 11. 12.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8편 | 정인, 편인, 배우자인연 간명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8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8편은 정인과 편인, 월지 겁재 사주 간명, 처자인연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편인 편인(식상(=자신의활동)을 극하니)이란 활동하지 않고 항상 앉아서 있는 것이니까, 편인(偏印)의 기술은 특별한 기술이어야 된다. 자신이 대문 밖에 나가 막 생산하고 만들고 활동성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식상) 팔짱끼고 앉아서도 재물을 벌어들이는 어떤 요인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하니, 눈치와 특별한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편인은 기술, 기능의 별도 되고, 예술, 의업, 그리고 특별히 밖에 나가지 않고도 남을 능히 제압할 수 있는 내부적인 힘을 가진 것으로 체육으로 볼 ..
2020. 10. 25.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7편 | 재성과 관성, 자식운 보는 법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7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7편은 재성과, 관성, 사주에서 자식운 보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편재 자기가 극(剋)하는 오행으로 자기가 제어하고 컨트롤하는 대상인 재성(財)은, 기본적으로 재물을 뜻하며, 치우칠 편자를 쓰는 편재(偏財)는 재물의 규모가 큰 재물을 뜻하며, 자신이 능력을 펼치는 무대, 시장, 일하는 곳(일터)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재와 달리, 자신과 음양(陰陽)이 같은 편재는 자신과 짝을 지을 수 없는 재물을 의미하니 고정적, 안정적이지 않은 재물이며, 남명에게는 아내 외의 내연녀나, 애인, 여자 등을 뜻하고, 육친(六親)으로는 남녀 모두에게 아버지가 된다. ..
2020.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