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과 일상 그리고 인생에서 발견하는 Serendipity_
국내여행지 추천 | 남설악 오색 주전골 용소폭포코스 | 설악산 단풍시기, 단풍절정 | 오색약수터 | 오색탄산온천
국내 가을 여행지 | 남설악 오색 주전골 용소폭포코스 | 설악산 단풍시기, 단풍절정 | 단풍명소 | 설경명소 | 오색약수터 | 오색탄산온천 | 양양 가볼만한 곳 사계절이 아름다운 남한의 금강산 | 설악산 국립공원'제 2의 금강산', '남한의 금강산'으로도 불리는 설악산(雪嶽山)은, 우리나라 제일의 아름다운 산으로 꼽히는 금강산에 견줄 만큼 빼어난 절경과 천혜의 자연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명산이다. 한반도의 척추를 이루는 등줄기인 백두대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봉 대청봉(大靑峰)은 태백산맥 봉우리 중 하나다. 주왕산, 월출산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3대 암산(巖山)이며, 한라산(1,950m) 지리산(1,915m)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산(1,708m)이기도 하다. 지질구조는 선캄브리아대 화강암질 편마암과,..
2020. 11. 6.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8편 | 정인, 편인, 배우자인연 간명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8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8편은 정인과 편인, 월지 겁재 사주 간명, 처자인연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편인 편인(식상(=자신의활동)을 극하니)이란 활동하지 않고 항상 앉아서 있는 것이니까, 편인(偏印)의 기술은 특별한 기술이어야 된다. 자신이 대문 밖에 나가 막 생산하고 만들고 활동성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식상) 팔짱끼고 앉아서도 재물을 벌어들이는 어떤 요인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하니, 눈치와 특별한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편인은 기술, 기능의 별도 되고, 예술, 의업, 그리고 특별히 밖에 나가지 않고도 남을 능히 제압할 수 있는 내부적인 힘을 가진 것으로 체육으로 볼 ..
2020. 10. 25.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7편 | 재성과 관성, 자식운 보는 법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7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7편은 재성과, 관성, 사주에서 자식운 보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편재 자기가 극(剋)하는 오행으로 자기가 제어하고 컨트롤하는 대상인 재성(財)은, 기본적으로 재물을 뜻하며, 치우칠 편자를 쓰는 편재(偏財)는 재물의 규모가 큰 재물을 뜻하며, 자신이 능력을 펼치는 무대, 시장, 일하는 곳(일터)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재와 달리, 자신과 음양(陰陽)이 같은 편재는 자신과 짝을 지을 수 없는 재물을 의미하니 고정적, 안정적이지 않은 재물이며, 남명에게는 아내 외의 내연녀나, 애인, 여자 등을 뜻하고, 육친(六親)으로는 남녀 모두에게 아버지가 된다. ..
2020. 10. 21.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5편 |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의 원리 분석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5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이 한의사님들을 상대로 한,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필사하여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5편은 24편에 이어 육신(육친, 십성)의 분석과, 그 중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의 원리와 작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육신(육친, 십성)의 원리 분석 비견육신(六神=육친=십성)이라는 것은 "관계"라고 보면 된다. 비견(比肩)이라는 것은 오행(午行)의 동기(同氣)와 같고, 음양(陰陽)이 같은 것. 비견이 가지는 일반적인 성향은, 자신과 같은 모양이니까, 전에 동색론(同色論)에서 설명했던 비견의 역할과 같이 자신을 그림자처럼 따라 다닌다. 그러니까 엄청나게 피곤한 것이다. 힘을 두 배로 만들어 주기도 하고, 피곤..
2020.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