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여행과 일상 그리고 인생에서 발견하는 Serendipity_

전체 글75

올림픽공원 단풍 | 갈대와 억새밭 | 올림픽공원 맛집 | 임미숙 김학래 차이나 린찐 올림픽공원 단풍 | 단풍시기 | 가을 나들이 | 갈대와 억새밭 | 성내천 | 올림픽공원 맛집 | 임미숙 김학래 차이나린찐 입동(入冬)이 찾아왔는데도 불구하고 올림픽공원의 단풍은 여전히 붉디 붉었다. 단풍시기와, 첫눈시기 등이 점점 늦춰지는 걸 보니 온난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실감한다. 얼마남지 않은 가을 나들이 장소나 데이트 장소 또는 출사지로 가까운 올림픽공원 방문을 계획하고 있다면 아직까지는 단풍이 충분히 남아 있으니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단풍 못지않게 갈대와 억새밭도 늦가을 분위기로 무르익었으며, 들꽃마루와 핑크뮬리 일대도 아름답다고 한다. 올림픽공원 성내천 산책로의 단풍터널 이번 입동은 추위 대신 미세먼지가 찾아왔다. 미세먼지 수치가 거의 위험수준에 이르렀는데도, 육안상으로는 햇빛도 강.. 2020. 11. 8.
국내여행지 추천 | 남설악 오색 주전골 용소폭포코스 | 설악산 단풍시기, 단풍절정 | 오색약수터 | 오색탄산온천 국내 가을 여행지 | 남설악 오색 주전골 용소폭포코스 | 설악산 단풍시기, 단풍절정 | 단풍명소 | 설경명소 | 오색약수터 | 오색탄산온천 | 양양 가볼만한 곳 사계절이 아름다운 남한의 금강산 | 설악산 국립공원'제 2의 금강산', '남한의 금강산'으로도 불리는 설악산(雪嶽山)은, 우리나라 제일의 아름다운 산으로 꼽히는 금강산에 견줄 만큼 빼어난 절경과 천혜의 자연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명산이다. 한반도의 척추를 이루는 등줄기인 백두대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봉 대청봉(大靑峰)은 태백산맥 봉우리 중 하나다. 주왕산, 월출산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3대 암산(巖山)이며, 한라산(1,950m) 지리산(1,915m)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산(1,708m)이기도 하다. 지질구조는 선캄브리아대 화강암질 편마암과,.. 2020. 11. 6.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9편 | 육친관계(가족관계) | 대운, 세운 간단히 보는 법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9편 정리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의 정리본입니다. 29편은 육친관계(가족관계)와, 대운과 세운을 간단히 보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병자라는 운이 들어왔을 때 병화가 자신에게 식신이라면, 천간에서 식신이 들어왔다 해도 지지에서 그것을 거부하는 자수가 들어 와 있으니, 이것은 병화의 세력을 갖춘 것이 아니고 자수의 세력을 갖춘 것이 된다. 예를 들어 갑일주가 병자년을 만났다고 할 때 병화는 식신인데, 식신은 활동을 도모하려는 정신적인 어떤 개념이다. 식신으로 활동을 도모한다는 것은 학문 분야로 본다면 저작 활동, 학문성을 얻기 위한 활동, 그리고 재를 생산하기 위한 단계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 2020. 11. 1.
국내여행지 추천 | 청송 주왕산 | 주왕산 단풍시기 | 주왕산 등산코스 | 청송 여행지 국내여행지 추천 | 청송 주왕산 | 주왕산 단풍시기 | 주왕산 등산코스 | 청송 여행코스 | 청송 가볼만한 곳 | 청송 맛집 신(神)들이 장기돌을 쌓아놓은 듯 절경의 협곡을 지닌 명산 | 주왕산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상의리에 위치한, 주왕산(周王山)은 백두대간에서 이어진 태백산맥의 줄기가 남하하여 이루어진 명산으로, 낙동정맥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져 있는 산이다. 1976년 우리나라의 12번째 국립공원으로, 2003년에는 명승 제 11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지질공원이기도 하다. 총 면적은 107.4km²에 달한다. 주왕산 주봉의 높이는 720.6m이며, 일대의 산지와 봉우리들의 해발고도는 600~900m로서, 태백산맥의 다른 산들에 비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우뚝 솟은 암봉.. 2020. 10. 29.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8편 | 정인, 편인, 배우자인연 간명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8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8편은 정인과 편인, 월지 겁재 사주 간명, 처자인연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편인 편인(식상(=자신의활동)을 극하니)이란 활동하지 않고 항상 앉아서 있는 것이니까, 편인(偏印)의 기술은 특별한 기술이어야 된다. 자신이 대문 밖에 나가 막 생산하고 만들고 활동성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식상) 팔짱끼고 앉아서도 재물을 벌어들이는 어떤 요인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하니, 눈치와 특별한 기술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래서 편인은 기술, 기능의 별도 되고, 예술, 의업, 그리고 특별히 밖에 나가지 않고도 남을 능히 제압할 수 있는 내부적인 힘을 가진 것으로 체육으로 볼 .. 2020. 10. 25.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7편 | 재성과 관성, 자식운 보는 법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7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7편은 재성과, 관성, 사주에서 자식운 보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편재 자기가 극(剋)하는 오행으로 자기가 제어하고 컨트롤하는 대상인 재성(財)은, 기본적으로 재물을 뜻하며, 치우칠 편자를 쓰는 편재(偏財)는 재물의 규모가 큰 재물을 뜻하며, 자신이 능력을 펼치는 무대, 시장, 일하는 곳(일터)을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재와 달리, 자신과 음양(陰陽)이 같은 편재는 자신과 짝을 지을 수 없는 재물을 의미하니 고정적, 안정적이지 않은 재물이며, 남명에게는 아내 외의 내연녀나, 애인, 여자 등을 뜻하고, 육친(六親)으로는 남녀 모두에게 아버지가 된다. .. 2020. 10. 21.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6편 | 재성과 관성의 위치, 비겁의 작용, 12운성의 적용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6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의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6편은 25편에 이어 재성과 관성의 팔자 내 위치에 따른 길흉과, 비겁의 작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재성과 관성은 팔자 내 어느 위치에 있는 것이 좋은가? 재(財)는 위로 드러나기보다 지지(地支)나 지장간(地藏干)에 있는 것이 좋고, 관(官)은 반드시 드러나야 좋다. O己丙甲 OO寅O 기토일주에 월 정관, 인목이 있다고 하자. 병인으로 관인이 상생되어 있는데, 이 중 드러난 것은 병화 인수 도장이며 도장은 결재권, 결재의 (결재 받는) 수단, 관과 타협하는 수단이라 이 사람은 반드시 명예를 성취하는 과정이, 도장을 바꾸면서 과장 됐다 부장 됐다 국장 됐.. 2020. 10. 20.
올림픽공원 가을 나들이 | 갈대밭 | 성내천 | 쑥찰떡설빙 | 베이징우 마라탕, 꿔바로우 고즈넉하고 평화로웠던 올림픽공원에서의 오후 블로그에 '일상' 카테고리를 만들어놓고도 사실 그동안 좀처럼 제대로 된 실외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보니(예상치 못했던 코로나의 장기화로), 상당 시간 카테고리가 비워진 채로 남겨 두었었다. 구글 SEO에 대해 검색을 해보니 글이 없는 빈 카테고리가 있는 것이 블로그에 상당히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 이상 방치하면 안 되겠다 싶어 가벼운 일상(이라 해봤자 집 근처 동네 마실이지만)의 흔적이라도 남겨보고자 한다. 그동안 이것이 은근한 마음의 짐으로 있었나 보다. 다들 그렇겠지만 시국이 시국인지라 매일 비슷한 일상을 살고 있다 보니, 도대체 뭘 쓸지 고민을 했었다. 오래간만에 날씨도 좋고 공기도 좋았던 주말, 오랜만에 가을볕도 좀 쬐고 .. 2020. 10. 18.
국내여행지 추천 | 포항 내연산 | 12폭포 | 내연산 최단코스 | 2020년 단풍절정 시기 포항 내연산 | 내연산 최단코스 | 내연산 12폭포 | 관음폭포 | 연산폭포 | 2020년 단풍절정 시기 겸재 정선이 진경산수화를 완성한, 아름다운 12폭포를 품은 명산 | 내연산 참 맑고 수려하다. 내연산을 둘러 본 소감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그렇다. 산 전체를 병풍처럼 둘러 싼 웅장한 기암절벽들 사이로 맑고 수려한 폭포와 계곡, 암굴들이 한데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는 내연산은 참 아름다운 산이었다. 경북 3경 중 하나로 꼽힌다는 내연산의 내연골(청하골), 갑천계곡 일대는 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듯 아름다운 12폭포가 절경을 이뤄, 경북의 금강산이라 불린다고 한다. 실제 겸재 정선이 청하 현감으로 있을 당시 내연산을 찾은 후 금강산보다 더욱 아름다운 경관이라며 칭송하였고,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내연삼.. 2020. 10. 17.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5편 |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의 원리 분석 사주 명리학 강의 | 박청화 춘풍추상 25편 정리 요약본 사주 명리학의 대가 박청화님이 한의사님들을 상대로 한, 97년도 춘풍추상 강의(춘하추동 신사주학)를 필사하여 정리한 요약본입니다. 25편은 24편에 이어 육신(육친, 십성)의 분석과, 그 중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의 원리와 작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육신(육친, 십성)의 원리 분석 비견육신(六神=육친=십성)이라는 것은 "관계"라고 보면 된다. 비견(比肩)이라는 것은 오행(午行)의 동기(同氣)와 같고, 음양(陰陽)이 같은 것. 비견이 가지는 일반적인 성향은, 자신과 같은 모양이니까, 전에 동색론(同色論)에서 설명했던 비견의 역할과 같이 자신을 그림자처럼 따라 다닌다. 그러니까 엄청나게 피곤한 것이다. 힘을 두 배로 만들어 주기도 하고, 피곤.. 2020. 10. 15.